티스토리 뷰
청년희망적금이란
2022 청년희망적금이 새롭게 출시되었습니다.
청년희망적금이란 아르바이트, 인턴, 사회초년생 등 저소득 층의 청년들이 소액 자산을 마련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정부 지원형 적금입니다.
정부 지원 적금인 만큼 혜택이 좋은 편이지만 대상자는 한정되어 있습니다.
어떤 대상자가 지원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, 조건을 어떻게 충족할 수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청년희망적금이란
청년희망적금 가입자는 매달 50만원 한도내에서 자유롭게 2년간 납입할 수 있습니다.
만기까지 납입하는 경우, 시중이자에 저축장려금까지 더해집니다.
저축장려금은 일 년 차 납입액의 2%, 2년 차 납입액의 4%만큼 지원되는데 매월 50만원씩 2년간 납입하는 경우 저축장려금은 최대 36만원까지입니다.
청년희망적금 대상자에 속하면 이자소득에 대해서도 비과세 되는것이 특징이며 1인 1계좌만 가능합니다.
청년희망적금 혜택 정리
연차 | 원금 | 장려금 | 종합 |
1년차 | 600만원 | 12만원 (2%) | - |
2년차 | 600만원 | 24만원 (4%) | - |
합계 | 1,200만원 | 36만원 | 1,236만원 |
청년희망적금 대상
청년희망적금 대상자는 가입일 기준으로 만 19세 이상 만 34세 이하의 청년입니다.
직전 과세기간의 총급여가 3600만원 이하이어야 합니다.
병역이행을 한 경우 병역이행기간 최대 6년은 연령 계산 시에 포함되지 않습니다
예를 들어 병역이행기간이 2년인 1986년생은 연령 요건을 충족하지만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(금융소득 2000만원 초과)는 가입이 불가합니다.
지난해 소득이 확정되기 이전까지는 2020년도 소득으로 가입 여부를 판단합니다.
청년희망적금 조건
만 19~34세 청년(군필자의 경우 복무기간만큼 최대 6년 연장 가능) |
총 급여 3600만원 또는 종합소득 2600만원 이하 |
청년희망적금 신청방법
👉청년희망적금 은행별 이자율 확인하기 |
👉청년희망적금 통합 신청 바로가기 |
청년희망적금은 KB국민은행, 신한은행, 하나은행, 우리은행, 농협은행, 기업은행, 부산은행, 대구은행, 광주은행, 전북은행, 제주은행에서 만들 수 있습니다
SC제일은행은 오는 6월에 서비스가 열릴 예정입니다.
가입희망자는 취급은행 중 1개 은행을 선택해 하나의 계좌만 개설할 수 있습니다.
👉KB국민은행 바로가기 |
👉신한은행 바로가기 | 👉하나은행 바로가기 |
👉우리은행 바로가기 | 👉농협은행 바로가기 | 👉기업은행 바로가기 |
👉부산은행 바로가기 | 👉대구은행 바로가기 | 👉광주은행 바로가기 |
👉전북은행 바로가기 | 👉제주은행 바로가기 |
위 은행들의 앱을 통해 미리보기를 신청하면 이후 2~3영업일 이내 문자로 가입가능 여부를 받을 수 있습니다
상품 정식 출시 후 가입자는 은행에 다시 가입요건 확인절차를 거치지 않고 바로 가입이 가능합니다.
청년희망적금 필요 서류
필요한 서류는 아래와 같습니다
- 근로내역 증빙서류: 고용보험자격 이력 내역서(6개월 근로 확인용), 근로계약서 또는 재직증명서
- 온라인 교육 수료증, 본인 기준 주민등록초본
정식 신청일
날짜 | 2.21 (월) | 2.22 (화) | 2.23 (수) | 2.24 (목) | 2.25 (금) |
출생년도 | 1991년 1996년 2001년 |
1987년 1992년 1997년 2002년 |
1988년 1993년 1998년 2003년 |
1989년 1994년 1999년 |
1990년 1995년 2000년 |
청년희망적금은 2월 21일(월)에 11개 업체에서 정식 출시될 예정입니다
취급회사 중 1개를 선택하여 1개 계좌만 개설할 수 있습니다
창구로 직접 방문하거나 모바일 앱을 통해 할 수 있습니다.
※ 정식 출시 후 첫 주(2월 21일 ~ 2월 25일)에는 5부제로 진행됩니다.